풍력발전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기업
APEC은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보급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풍력발전 개요
풍력발전(Wind Power Generation)은 바람에너지를 풍력터빈(Wind Turbine)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풍력은 자원이 풍부하고, 끊임없이 재생되며,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운전 중 온실가스 배출이 없다는 점에서 화석에너지 고갈에 대비한 유망한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풍력발전의 원리
풍력발전기의 구성 및 분류
대한민국 국가 바람지도(Wind Map)
- 국가바람지도(또는 풍력자원지도:Wind Map)는 지역별 풍속 및 풍력밀도의 공간분포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 기상 재해석자료, 기상 관측자료 등의 기상정보 및 수치고도자료, 토지 이용도 등의 지리정보를
입력하여 수치해석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작성됩니다
- 향후 지속적인 고해상도화 및 관측자료, 인공위성 원격탐지자료와의 객관분석 및 보정등의 과정을
통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풍력발전 단지개발 분야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풍력발전설비 설치현황지도
- 2010년 말 현재 국내 풍력발전설비의 총 규모는 52,250kW가 보급되었으며, 1,660MW가 보급
예정입니다.
- 지자체 및 풍력발전 사업체들이 전국을 대상으로 상업용 풍력발전건설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타당성 검토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 20MW가 넘는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로는 영덕풍력단지(1.65MW급 24기)와 평창 횡계의
강원풍력단지(2MW급 49기), 제주 한경의 남부발전단지(21MW)가 있으며 이들 발전단지가
담당하는 총 시설용량은 158.6MW로서 국내 풍력에너지 보급량의 약 83%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풍력발전 사업동향
- 풍력발전 지원책인 융자지원제도 운영, 발전차액지원제도 도입으로 2004년 이후 사업용 풍력발전소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세계 풍력발전설비는 2003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30년까지 누적설치 용량이 250만MW가 될 전망입니다.
- 일부 유럽국가의 경우 육상풍력발전 부지의 포화로 설비증가율이 둔화되는 반면, 해상풍력발전추진과 노후 발전기 교체 시장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풍력발전설비 설치전망
총 발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2008년 1.2%에서 2020년 4.7%, 2030년 7.7%에 이를 전망이며, 이 중 풍력발전량은 신,재생전력량 대비 2010년 13.9%에서 2020년 37%, 2030년 42.1%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구분 |
2010 |
2015 |
2020 |
2030 |
1차 에너지(백만TOE) |
253 |
270 |
287 |
300 |
신,재생에너지(전TOE) |
7,566 |
11,731 |
17,520 |
33,027 |
1차대비 신,재생비중(%) |
2.98 |
4.33 |
6.08 |
11.0 |
풍력(TOE) |
220 |
1,084 |
2,035 |
4,155 |
신,재생중 풍력비중(%) |
2.9 |
9.2 |
11.6 |
12.6 |
신,재생 전력공급량(GWh) |
6,345 |
13,016 |
21,977 |
39,517 |
풍력 설비 누적보급량(kW) |
1 |
5 |
9 |
14 |
풍력 전력 공급량(GWh) |
881 |
4,336 |
8,138 |
16,620 |
신,재생전력중 풍력비중(%) |
13.9 |
33.3 |
37.0 |
42.1 |
[1차에너지 대비 샌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발전원별 공급비중(2009년 기준)]